본문 바로가기
작가

[#196-24-3] 존재론적 예술 – 인간·기계·자연의 공저 | 예술과 지능 III 3편

by 아트위버 2025. 11. 24.
반응형

존재론적 예술 – 인간, 기계, 자연의 공저

예술은 더 이상 인간만의 창작이 아니다. 인간·기계·자연이 함께 존재를 구성하고 공저(co-authorship)하는 예술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존재론적 예술

 

I. 예술의 존재론이 바뀌고 있다 – “누가 예술을 만드는가?”

예술의 정의는 오랫동안 ‘인간의 표현’에 머물렀습니다. 그러나 생성형 AI, 로봇, 생태계 기반 설치 작업이 등장하며 질문이 바뀌었습니다.

이제 예술은 주체의 확장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 기계가 공동 생성하는 이미지
  • 자연이 스스로 자라며 완성하는 조각
  • 환경 데이터가 시각을 변화시키는 설치작업

예술의 존재론이 인간 중심에서 네트워크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II. 비인간 주체성 – 기계·자연도 창작자가 될 수 있는가?

포스트휴먼 철학은 “창작자는 인간뿐인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예술은 이미 다음과 같은 비인간 주체들을 수용하고 있습니다.

1. AI(인공지능)

패턴 학습 → 새로운 조합 생성 → 예술적 제안 기능 수행

2. 자연/환경

바람·물·식물 생장 과정이 작품 형태를 변형·완성

3. 로봇/기계

피지컬 연출, 행동 기반 드로잉/조각 수행

4. 관객/집단

제스처·음성·감정 신호가 작품을 실시간 조정, 예술은 더 이상 인간의 ‘단독 창작’이 아니라 인간·기계·자연이 얽힌 상호작용적 구조가 됩니다.

 

III. 존재론적 예술의 실제 사례

  • TeamLab: 관객 움직임과 센서 데이터가 공간 전체를 변화시키는 디지털 환경
  • Olafur Eliasson: 자연 요소(빛·바람·물)를 작품 시스템 내부로 끌어들임
  • Refik Anadol: 도시·날씨·뇌파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실시간 데이터 스케이프
  • BioArt 설치작업: 미생물·식물의 성장 과정이 작품을 완성

이 사례들은 모두 “예술의 주체가 인간만인 시대는 끝났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IV. 존재론적 예술의 핵심 구조 – 관계·흐름·상호작용

존재론적 예술은 다음 세 가지 구조 위에서 작동합니다.

① 관계(relationship)

작품은 대상이 아니라 관계로 정의된다.

② 흐름(flow)

예술은 완성된 상태가 아니라 계속되는 프로세스.

③ 상호작용(interaction)

인간·기계·자연의 상호작용이 작품의 ‘형태’를 결정

 

V. 철학적 배경 – 포스트휴머니즘과 존재의 재정의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은 “인간=중심”이라는 전제를 해체합니다. 예술 역시 다음과 같이 확장됩니다.

  • 인간 → 기계 → 자연 → 네트워크로 주체의 확장
  • 존재(being)를 개체가 아닌 상호작용적 사건으로 이해
  • 예술은 “대상을 만드는 것”에서 “관계를 만드는 것”으로 이동

그래서 존재론적 예술의 핵심은, “예술은 무엇인가?”가 아니라 “예술은 어디서 발생하는가?”입니다.

 

VI. 존재론적 예술의 강점과 위험

  • 강점: 지속성과 생태적 고민, 탈중심적 창작, 새로운 경험
  • 위험: 주체성의 모호화, 저작권 문제, 알고리즘 편향, 생명윤리 리스크

따라서 존재론적 예술은 예술가에게 윤리·철학·기술의 균형을 요구합니다. 한 줄 정의: 존재론적 예술은 “예술이 어디서, 누구와, 어떻게 존재하는가”를 다시 묻는 관계 기반 창작의 패러다임이다.

 

 

Artes Gallery | 아르테스갤러리

Art for Every Soul

artesgallery.com

 

VII. 5문장 핵심 요약

  1. 예술의 주체는 인간에서 기계·자연·집단으로 확장되고 있다.
  2. 존재론적 예술은 작품보다 상호작용과 관계를 우선시한다.
  3. 기계·자연·데이터는 이제 창작의 ‘공저자’가 된다.
  4. 포스트휴머니즘은 예술의 존재론을 탈중심적으로 재구성한다.
  5. 예술은 개체 생산이 아니라 관계 생성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이동 중이다.

다음 글 4편 – 감각 증폭: XR·BCI·생체 기반 예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