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감정3 [#112-13-7] 광고·브랜딩 속 예술심리 광고·브랜딩 속 예술심리좋은 브랜드 경험은 주의→감정→기억의 순환으로 구축됩니다. 예술심리는 이 세 축을 설계하는 언어입니다. 1. 세 축으로 보는 크리에이티브: 주의·감정·기억축작동 원리예술적 레버적용 포인트주의대비·규모·새로움이 시선을 붙잡음보색 대비, 리듬 파괴, 비정형 구도히어로 이미지 1개, 여백 확대, 스크롤 첫 화면 3초 규칙감정공명·동일시·정서 전염인물 시선, 서사적 프레이밍, 음악/템포한 장면=한 감정, 카피는 15~20단어 이내기억부호화·재생·피크-엔드반복 모티프, 시그니처 컬러/음인트로 3초/피크 1컷/엔드 태그라인 고정원칙: 한 피스에 메시지는 1개만, 나머지는 버리는 게 설계입니다. 2. 시각 문법 – 게슈탈트와 플루언시근접·유사: 같은 색·간격은 하나로 읽힙니다 → 로고/아이콘.. 2025. 8. 19. [#107-13-2] 색채와 감정 – 색이 마음을 움직이는 원리 색채와 감정 – 색이 마음을 움직이는 원리색은 첫 시선을 붙잡고, 감정의 온도를 바꿉니다. 색온도·채도·명도·대비라는 네 개의 축을 이해하면, 전시장에서 감정의 출처를 더 정확히 포착할 수 있습니다. 1. 색이 감정을 바꾸는 기본 메커니즘색온도(따뜻/차가움): 따뜻한 스펙트럼은 접근·활성감을, 차가운 스펙트럼은 거리·차분함을 유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채도(선명/탁함): 높은 채도는 각성·흥분, 낮은 채도는 안정·사색을 촉발하기 쉽습니다.명도(밝음/어두움): 밝음은 개방감, 어두움은 집중/밀도를 높입니다.대비(강함/약함): 강한 대비는 긴장과 리듬을, 약한 대비는 연속성·고요를 만듭니다.경향 vs 정답: 위 특성들은 일반적 경향일 뿐 절대 법칙이 아닙니다. 작품 맥락·문화·개인 기억이 해석을 바꿉니다. .. 2025. 8. 18. [#106-13-1] 마음으로 보는 예술 – 심리학적 감상법 입문 마음으로 보는 예술 – 심리학적 감상법 입문예술 감상은 ‘좋다/나쁘다’의 취향을 넘어서 주의·지각·감정·해석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심리 프로세스입니다. 이 글은 그 과정을 이해하고, 일상 감상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1. 왜 심리학으로 예술을 볼까?같은 작품을 보고도 사람마다 전혀 다른 반응을 보입니다. 그 차이는 과거 경험, 기대, 맥락이 현재 지각을 수정하기 때문이에요. 심리학은 작품 바깥의 관람자에게서 시작해, 우리가 무엇을 보고 어떻게 느끼는지를 설명합니다.탑다운(Top–Down): 지식·기대가 지각을 이끕니다(“이건 인상주의니까 붓질을 보자”).바텀업(Bottom–Up): 색·대비·패턴 등 감각 데이터가 먼저 감정을 건드립니다.포인트: 좋은 감상은 두 방향을 오가며 이루어집니다. .. 2025. 8.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