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도시산책2

[#104-12-4]도시 산책 – 공공미술을 읽는 법 도시 산책 – 공공미술을 읽는 법공공미술은 미술관 바깥에서 만나는 ‘열린 전시’입니다. 작품만 보는 대신, 장소성·커뮤니티·안전·접근성을 함께 읽어야 완성됩니다. 1. 무엇을 ‘공공’이라 부르는가공공미술은 누구나 접근 가능한 장소에 설치되어 일상 동선과 만나는 예술입니다. 조형물·벽화·라이트 아트·사운드 스케이프·참여형 커뮤니티 프로젝트까지 폭넓습니다.영구 설치: 광장 조각, 분수, 기념비반영구/임시: 벽화, 미디어 파사드, 계절형 설치참여형: 주민 워크숍, 데이터 시각화, 퍼포먼스 2. 장소성(Placemaking) – ‘왜 여기인가’맥락: 역사·지형·산업·교통과의 관계. 작품이 지역 서사를 어떻게 끌어오는가?시야: 접근 축, 프레이밍(나무/건물/하늘), 일출·일몰·야경의 변화체험: 앉기·걷기·돌기 .. 2025. 8. 16.
[#101-12-1] 예술과 공간 – 미술관·갤러리·공공미술 탐방기 시리즈 개요 예술과 공간 – 미술관·갤러리·공공미술 탐방기전시는 작품만으로 완성되지 않습니다. 공간, 동선, 조명, 텍스트가 함께 이야기합니다. 이 시리즈는 도시 위 전시 공간을 탐방하며 ‘공간의 언어’로 예술을 읽는 법을 안내합니다. 구성(6편)1편 · 미술관1. 미술관 관람의 기술 – 공간을 읽는 7가지 포인트입구에서 출구까지, 동선·조명·텍스트·사운드를 해석하는 방법 2편 · 갤러리2. 갤러리 필드가이드 – 작은 공간, 큰 경험상업 갤러리의 큐레이션과 응대, 예약·문의·구매 에티켓 3편 · 공공미술3. 도시 산책 – 공공미술을 읽는 법장소성, 커뮤니티, 유지관리와 안전까지 놓치지 않기 4편 · 테크닉4. 빛·소리·건축 – 감각을 조율하는 전시 디테일조도·색온도·흡음·반향·재료감이 감상에 미치는 영향 5편 · .. 2025. 8.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