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정책2

[#120-14-7] 예술의 글로벌 불평등 – 네트워크와 지역 격차 예술의 글로벌 불평등 – 네트워크와 지역 격차예술은 보편적 언어지만, 보이는 권리는 보편적이지 않습니다. 미술관·비엔날레·아트페어의 네트워크는 ‘중심과 주변’을 만들고, 언어·비자·물류·환율은 보이지 않는 장벽이 됩니다. 격차의 구조를 해부하고, 공정한 대안을 제시합니다. I. 서문 – “누가 전시되고, 누가 보이는가”세계 미술 생태계는 소수의 허브(메가 미술관·거대 비엔날레·톱 아트페어)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초청·추천·레퍼런스로 움직이는 네트워크 구조는 신인·비영어권·비자 약자·물류 취약 지역에 불리하게 작동합니다. II. 네트워크의 지도 – 허브와 링크허브 효과: 소수 기관이 ‘평판 라우터’ 역할을 하며, 이력서의 한 줄이 도약을 만듭니다.경로 의존성: 특정 학교/레지던시/큐레이터 라인에 편중된.. 2025. 8. 22.
[#119-14-6] 예술 검열의 역사 – 권력과 표현의 자유 예술 검열의 역사 – 권력과 표현의 자유검열은 늘 같은 모습으로 오지 않습니다. 법·종교·정치·시장·플랫폼·여론은 서로 다른 방법으로 예술의 경계를 압박합니다. 역사를 통해 패턴을 읽고, 오늘의 현장에서 자유를 지키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I. 서문 – 검열의 다섯 얼굴국가/법: 금지·허가·등급·보조금 중단종교/이념: 우상파괴·금기·성/폭력 규범시장: 스폰서·후원 철회, 보험/운송 거부플랫폼: 이용규정·알고리즘 비가시적 삭제여론/압력단체: 보이콧·항의·전시 중단 요구핵심 질문: “누가 기준을 만들었고, 그 기준은 공개·검증 가능한가?” II. 고대–근대: 종교와 국가의 기준우상파괴: 종교 개혁기 성상파괴 운동은 이미지 권위를 재편국가 검열: 왕권/제정의 질서 유지—풍속·도덕을 명분으로 금지금서·금지 전.. 2025. 8.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