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와비사비2

[#179-21-4] 아시아 – 전통과 현대의 공존, 세계 미술의 흐름 4편 아시아 – 전통과 현대의 공존아시아 미술은 ‘비움의 미학’과 ‘공존의 철학’으로 요약됩니다. 여백·무위·와비사비 같은 전통 개념은 오늘의 미디어 아트와 도시 문화 속에서도 살아 움직입니다. I. 전통 미학의 핵심 키워드1. 여백(空白)그려지지 않은 공간이 의미를 낳는 동적 비움. 감상자의 상상과 시간성이 개입합니다.2. 무위(無爲)자연의 흐름에 순응하는 태도. 인위의 과잉보다 ‘자연스러움’이 미학의 기준이 됩니다.3. 와비사비불완전·불균형·무상(無常)을 아름다움으로 승화. 차문화, 도자, 건축 디테일에 스며 있습니다.4. 서예/산수선(線)과 먹(墨)의 리듬, 기(氣)의 운율. 글씨와 그림의 경계가 흐려진 ‘필획의 예술’, 감상 팁: 아시아의 전통 회화는 ‘한 번에’ 읽기보다, 화면의 여백과 필획을 따라.. 2025. 10. 9.
[#41-5-6] 동양의 미학 – 무위, 여백, 선의 감성 가득 채우지 않고 비워둘 때, 비로소 드러나는 아름다움1. 서양 미학과 다른 길을 걷다서양 미학이 종종 형식, 구조, 이성에 중점을 두었다면, 동양 미학은 비움, 조화, 자연스러움을 강조해 왔습니다. 중국, 일본, 한국의 전통 예술은 공통적으로 ‘무위(無爲)’와 ‘여백(餘白)’의 가치를 담고 있습니다. 2. 무위(無爲) – 억지로 하지 않는 자연스러움장자와 노자의 도가 철학에서 비롯된 무위는 억지로 만들지 않고 자연의 흐름에 맡기는 태도를 뜻합니다. 예술에서는 작위적이지 않고, 작품이 스스로 숨 쉬도록 하는 표현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산수화에서 구름이 흐르고, 물이 흘러가는 장면을 인위적으로 정리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붓질로 그리는 것이 무위의 예입니다. 3. 여백(餘白) – 비어 있는 공간의 힘동양화나.. 2025. 8.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