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3

[#49-6-5] 디지털 복제와 ‘아우라’의 재탄생 – 온라인 시대의 진정성 원본의 힘은 사라졌는가, 아니면 새로운 형태로 돌아왔는가?1. 벤야민의 ‘아우라’와 기계복제독일 철학자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은 1936년 논문 기계복제시대의 예술작품에서 ‘아우라(Aura)’를 예술작품의 고유한 시간·공간적 존재감, 진정성의 근원으로 정의했습니다. 사진과 영화 같은 기계복제 매체는 원본과 복제의 차이를 무너뜨려, 작품의 아우라를 약화시킨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기계복제를 넘어 무한 디지털 복제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2. 디지털 복제의 특징무손실 복제: 원본과 동일한 품질의 무제한 복제 가능즉시 전송: 전 세계 어디로든 실시간 공유변형 용이: 리믹스·필터·AI 편집을 통한 변주 가능메타데이터 추적: 생성·수정 이력 기록 가능이런 환경에서는 물리적 .. 2025. 8. 12.
[#48-6-4] 소셜미디어와 예술 – 확산과 소비의 변화 작품은 ‘전시’에서 ‘피드’로, 감상은 ‘관람’에서 ‘참여’로1. 플랫폼이 미술관이 될 때오늘의 예술은 전시장 벽을 넘어 인스타그램, 틱톡, 유튜브 같은 플랫폼에서 유통됩니다. 스크롤과 스와이프가 관람 동선이 되고, 좋아요·댓글·리믹스가 감상의 언어가 됩니다. 소셜미디어는 접근성을 높였고, 작가는 해시태그와 릴스, 숏폼 영상으로 글로벌 관객과 직접 연결됩니다. 2. 알고리즘이 만든 새로운 ‘큐레이터’과거에는 기획자와 평론가가 작품의 노출을 좌우했다면, 이제는 추천 알고리즘이 ‘보일 권리’를 배분합니다. 관객의 체류 시간, 저장·공유율 같은 신호가 작품의 도달 범위를 결정하고, 썸네일·첫 3초의 후킹이 미술의 형식과 리듬에까지 영향을 줍니다.발견성(Discoverability): 검색·추천·해시태그로 신.. 2025. 8. 12.
[#47-6-3] 메타버스 전시 – 가상공간에서의 감상 경험 현실의 벽을 넘어, 전 세계가 하나의 미술관이 되는 시대1. 메타버스와 예술의 만남메타버스(Metaverse)는 가상(Virtual)과 현실(Reality)이 결합된 3차원 디지털 공간을 의미합니다. 예술계에서는 이를 활용해 가상 미술관, 전시회, 퍼포먼스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오프라인 전시와 달리, 메타버스 전시는 시공간의 제약 없이 누구나, 어디서든 접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새로운 감상 경험몰입감: VR·AR 기술로 작품 속에 들어간 듯한 체험참여성: 관람자가 전시 동선과 상호작용 가능글로벌 접근성: 물리적 거리와 무관하게 전 세계 관람객 유입창작 확장: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크기·형태의 작품 구현 3. 대표적인 메타버스 전시 사례디센트럴랜드(Decentraland)에서는 N.. 2025. 8. 12.
[#46-6-2] NFT 아트 – 디지털 소유권의 혁명 이미지를 복사할 수 있지만, ‘진짜’는 단 하나1. NFT란 무엇인가?NFT(Non-Fungible Token)는 대체 불가능 토큰으로,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고유성을 증명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하나하나가 고유한 속성을 가지므로, 디지털 이미지, 음악, 영상 등에도 ‘원본 인증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예술에 적용한 것이 바로 NFT 아트입니다. 디지털 파일은 무한 복제가 가능하지만, NFT를 통해 특정 파일의 ‘진정한 소유자’를 증명할 수 있습니다. 2. 예술 시장의 변화2021년 크리스티 경매에서 비플(Beeple)의 디지털 작품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가 6,930만 달러에 낙찰되면서 NFT 아트는 전 세계의 관심을 끌었습니다.작가들은 중개자 없이 직접 작품을 판매 .. 2025. 8. 12.
[#45-6-1] AI 아트 – 창작의 주체는 누구인가? 작가인가, 알고리즘인가, 아니면 둘의 협업인가?1. AI 아트의 등장과 확산AI 아트는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해 이미지, 영상, 음악 등 예술 작품을 만드는 방식을 말합니다. 2018년 크리스티 경매에서 AI가 만든 에드몽 드 벨라미(Edmond de Belamy) 초상화가 약 43만 달러에 낙찰되면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오늘날 미드저니(Midjourney), 달리(DALL·E),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 같은 도구는 누구나 쉽게 고품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만들었고, 예술 창작의 문턱을 낮췄습니다. 2. 창작 주체에 대한 철학적 질문AI 아트가 던지는 가장 큰 질문은 바로 “누가 창작자인가?”입니다. 전통적으로 예술은 인간 작가의 의도와.. 2025. 8. 12.
[#44-5-9] 예술과 철학 인덱스 – 미학의 눈으로 보는 예술의 본질 예술과 철학 – 미학의 눈으로 보는 예술의 본질 1편: 플라톤과 예술 – 모방과 진리의 문제예술을 모방으로 본 플라톤의 관점과 ‘이데아’ 개념을 통해 진정한 아름다움의 의미를 탐구2편: 아리스토텔레스 – 카타르시스와 예술의 목적예술을 인간의 정서와 학습의 장으로 본 아리스토텔레스의 미학3편: 칸트의 판단력 비판 – 미와 숭고주관적이지만 보편적인 ‘취미판단’과 자연·예술 속 숭고의 개념4편: 헤겔과 낭만주의 – 역사와 절대정신으로서의 예술예술을 절대정신의 표현으로 본 헤겔과 낭만주의 시대의 예술관5편: 현대 철학의 전환 – 벤야민과 기술 복제시대발터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과 기술 복제가 예술에 미친 영향6편: 동양의 미학 – 무위, 여백, 선의 감성동양 예술의 핵심인 무위·여백·선의 철학과 현대적 의미.. 2025. 8.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