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3

[#151-18-2] 회화에서 옷으로 – 르네상스 복식과 초상화, 예술과 패션 2편 회화에서 옷으로 – 르네상스 복식과 초상화르네상스 회화 속 인물은 옷을 통해 자신을 설명했습니다. 비단과 벨벳, 금사와 레이스는 권력과 신분을 상징했고, 초상화는 ‘사회적 정체성의 기록’이자 ‘패션 화보’였습니다. I. 초상화와 복식 – 권력의 시각 언어르네상스 시기의 초상화는 단순한 얼굴 기록이 아니라 사회적 계급과 권위의 표상이었습니다. 직물의 질감, 보석의 반짝임, 옷깃의 높이는 인물의 지위를 은연중에 드러냈습니다.비단·벨벳: 무역으로만 구할 수 있는 고급 원단 → 부의 상징금사 자수: 교황청·왕실 중심의 권위 표식깃칼라: 신분의 ‘물리적 거리감’을 만드는 장치오늘날 패션 전시에서도 원단 질감 재현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섬세한 직물 복원은 당시 미학을 가장 직접적으로 보여줍니다. II. 색채의 권.. 2025. 9. 12.
[#150-18-1] 패션은 예술일까? – 논쟁의 시작, 예술과 패션 1편 패션은 예술일까? – 논쟁의 시작패션은 매일 입는 ‘옷’이지만, 동시에 전시장에서 ‘작품’이 되기도 합니다. 우리가 입고, 걷고, 사진을 남기는 그 행위까지 포함할 때, 패션은 어디까지 예술일까요? I. 예술 vs 실용? – 패션을 가르는 세 가지 축① 미학(형식)실루엣·재단·주름·패턴·색채는 회화·조각과 같은 형식의 언어입니다. 바느질의 밀도, 원단의 떨어짐(drape)은 조각의 질량감과 비슷한 감각을 일으키죠.② 제도(장소)런웨이는 ‘상업/시즌’의 제도, 갤러리는 ‘영속/기록’의 제도입니다. 같은 옷이라도어디에 놓이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③ 시장(가치)한정 생산, 아카이브, 협업 에디션은 희소성과 스토리로 가치를 만듭니다. 수요·담론·큐레이션이 교차할 때 ‘예술시장’의 논리가 작동합니다. I.. 2025. 9. 11.
[#149-17-9] 예술 여행 인덱스 Artes Archive – 예술 여행 인덱스세계 주요 도시와 숨은 미술관까지, 8편의 글로 정리한 예술 여행 아카이브입니다. 1편 · 파리 – 루브르에서 오르세까지, 미술사의 심장부고전과 인상주의, 파리 강변의 미술관 산책 2편 · 피렌체 – 르네상스의 거리에서 만나는 예술두오모, 우피치, 미켈란젤로를 따라 걷는 길 3편 · 뉴욕 – MoMA와 거리예술, 현대미술의 현장맨해튼에서 브루클린까지, 다양한 현대미술의 얼굴 4편 · 베를린 – 전쟁과 분단, 그리고 현대미술장벽 위의 미술관과 공장형 현대미술관 5편 · 교토 –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일본 미학사찰·공예 골목·현대미술관의 조화 6편 · 런던 – 테이트 모던과 공공미술 산책터빈 홀에서 템스 강변까지, 공공성과 현대미술 7편 · 서울 – 전통과 현.. 2025. 9. 10.
[#148-17-8] 세계의 작은 미술관 – 숨은 진주 같은 공간들 12선 세계의 작은 미술관 – 숨은 진주 같은 공간들거대한 랜드마크만이 ‘좋은 미술관’은 아닙니다. 동네 골목, 바닷가, 산자락에 숨어 있는 작은 미술관은 관객과 작품의 거리를 줄이며 감상의 밀도를 높여 줍니다. I. 하이라이트 12선 – 대도시 밖에서 빛나는 미술관① 나오시마 아트하우스 프로젝트(일본·세토내해) 장소특정빈 집을 개조한 ‘집=작품’ 프로젝트, 섬의 빛과 골목의 시간성을 작품이 품음.감상 팁: 지도보다 보행의 리듬을 따르기, 마을 소음·바람까지 감상에 포함② 라 스콜라(이탈리아·움브리아) 건축 리노베이션옛 학교를 개조한 소규모 컨템포러리, 마을 축제·레지던시와 유기적 연결감상 팁: 교실·복도 스케일을 활용한 설치의 ‘거리감’을 체험③ 코르텐 발틱(영국·게이츠헤드) 리버프런트작지만 날카로운 기획과.. 2025. 9. 9.
[#147-17-7] 서울 예술 여행 코스 – 경복궁, 북촌, 국립현대미술관, 서촌 갤러리, 리움 하루 동선 서울,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예술 도시추천 동선: 경복궁 → 북촌 한옥길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MMCA Seoul) → 서촌 로컬 갤러리 → 리움미술관 (선택: 청계천 야간 산책)왕궁의 축과 한옥의 선, 그리고 현대미술의 화이트 큐브가 하루의 이야기로 연결됩니다. 서울은 ‘시간의 결’이 곧 미학인 도시입니다. I. 하루 코스 요약 – 선(線)과 면(面)으로 읽는 서울오전|경복궁 – 축선·중정·기단의 질서정오|북촌 한옥길 – 기와·창호·담장의 리듬이른 오후|MMCA 서울 – 동시대 전시 & 야외 조각늦은 오후|서촌 – 로컬 갤러리·공방·소규모 전시저녁|리움 – 전통·현대 건축과 컬렉션의 대화리듬 만들기: 실외(궁·골목) → 실내(미술관) → 실외(동네) → 실내(미술관)로 교차해 감각 피로를 낮추세요... 2025. 9. 8.
[#146-17-6] 런던 예술 여행 코스 – 테이트 모던, 밀레니엄 브리지, 사우스뱅크, 포스 플린스 하루 동선 런던, 테이트 모던과 공공미술 산책추천 동선: 테이트 모던 → 밀레니엄 브리지 → 사우스뱅크 산책(하이워드 갤러리 외관·국립극장 주변 설치) → 워터루 다리 → 트라팔가 광장(포스 플린스)발전소에서 미술관으로 변신한 테이트 모던, 강 위의 다리, 도시를 무대로 한 공공미술. 런던의 현대미술은 템스 강을 따라 걷는 동선에서 가장 잘 보입니다. I. 하루 코스 요약 – 강변을 따라 현대미술 읽기오전|테이트 모던 – 터빈 홀과 근·현대 컬렉션정오|밀레니엄 브리지 – 세인트폴 대성당과 강변 파노라마이른 오후|사우스뱅크 – 공공미술·거리 퍼포먼스·하이워드 외관늦은 오후|트라팔가 광장 – 포스 플린스(제4기단) 프로젝트리듬 만들기: 실내(테이트) 120분 집중 → 강변 산책 30분 환기 → 공공미술 60분 → 광.. 2025. 9.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