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트페어 준비 A to Z – 부스 선정부터 보험·홍보까지
아트페어는 예술가에게 전시·판매·네트워킹의 3박자를 제공하는 현장입니다. 하지만 철저한 준비가 없다면 비용만 남기고 끝날 수 있습니다.
I. 부스 선정 – 전략적으로 선택하기
아트페어의 부스 위치와 크기는 매출과 방문객 유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전시장 입구 근처, 메인 동선, 카페·라운지 인근이 상대적으로 유리합니다.
부스 타입 | 장점 | 단점 |
벽면형 | 작품 집중도 높음, 설치 용이 | 노출 각도 제한 |
코너형 | 양면 노출, 유동 인구↑ | 가격 높음. |
아일랜드형 | 360° 관람 가능 | 운영 인력·작품 수 요구↑ |
팁: 첫 참가라면 비용·작품 수·운영 인력 고려해 벽면형 또는 코너형 추천
II. 작품 운송·포장 – 안전이 곧 비용 절감
- 에어캡·폼보드·목재 크레이트 등 3중 포장
- 프레임 유리 사용 시 안전필름 부착
- 포장 전·후 사진 촬영해 보험 증빙 자료 확보
주의: 저가 포장재 사용은 파손·변형 시 배상 불가 위험 ↑
III. 보험 – 만약에 대비한 필수 투자
대부분 아트페어는 기본 보험이 있으나, 운송 중 사고·자연재해·도난까지 보장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별 예술품 보험 가입을 권장합니다.
- 보장 범위: 운송·설치·전시·철거 전 과정
- 필수 서류: 작품 사진, 감정서, 가격 증빙
- 보험료: 작품가·보장기간·보장범위에 따라 책정
IV. 홍보 – 전시 전부터 시작하라
1. 온라인 홍보
- SNS 해시태그 + 페어 공식 태그 사용
- 작품·부스 위치 안내 이미지 제작
- 릴스·틱톡으로 설치 과정·메이킹 공개
2. 오프라인 홍보
- 명함·브로슈어·포스트카드 제작
- QR코드로 포트폴리오·샵 연결
- VIP·컬렉터 대상 초대장 발송
V. 현장 운영 – 첫인상과 대화
- 복장: 깔끔·중립적인 톤, 작가 개성 유지
- 대화: 작품 스토리를 1분 버전·3분 버전으로 준비
- 결제: 카드·계좌이체·QR결제 모두 가능하도록
팁: 부스 방문객 중 즉시 구매로 이어지는 경우는 20% 미만. 나머지는 사후 팔로업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VI. 아트페어 D-타임라인
기간 | 주요 작업 |
D-90 | 참가 신청, 부스 타입 확정, 예산 수립 |
D-60 | 작품 선정, 제작·프레이밍 시작 |
D-30 | 홍보 콘텐츠 제작, 보험 가입 |
D-14 | 포장 준비, 운송사 확정 |
D-7 | 최종 점검, 설치 일정 조율 |
D-Day | 설치·부스 세팅, 소프트 오프닝 |
D+1~3 | 현장 운영, 판매·네트워킹 |
D+7 | 철거·정산·사후 고객 연락 |
Artes Gallery | 아르테스갤러리
Art for Every Soul
artesgallery.com
VII. 사후 관리 – 매출보다 중요한 ‘관계’
- 구매 고객에게 설치 가이드·감사 카드 발송
- 관심 고객에게 신작·다음 전시 소식 전달
- 전시 종료 보고서 작성(매출·비용·성과)
- 체크: 첫 참가 성과를 데이터화하면, 다음 해 참가 여부, 규모 결정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 예고 3편: SNS로 작품 홍보하기 - 알고리즘을 아군으로
반응형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86-10-6] 작품 가격 책정과 협상 전략 – 가치와 시장 사이의 균형 (3) | 2025.08.15 |
---|---|
[#85-10-5] 예술가를 위한 계약과 저작권 기본기 – 분쟁을 예방하는 문서화 (5) | 2025.08.14 |
[#84-10-4] 아트 굿즈 제작과 판로 개척 – 상품화부터 판매 채널까지 (7) | 2025.08.14 |
[#83-10-3] SNS로 작품 홍보하기 – 알고리즘을 아군으로 (7) | 2025.08.14 |
[#81-10-1] 예술 비즈니스 첫걸음 – 창작을 지속 가능한 커리어로 (11) | 2025.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