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르테스아카이브54 [#128-15-6] 환경 교육과 예술 – 참여를 이끄는 프로그램 디자인 환경 교육과 예술 – 참여를 이끄는 프로그램 디자인배우고(Learn), 만들고(Make), 행동하는(Act) L·M·A 프레임으로 예술 기반 환경 교육을 설계합니다. 학습 목표 매핑부터 커리큘럼·평가·안전·접근성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I. 목표 설정 – L·M·A 프레임축목표예시 성취기준Learn지역 환경 이슈 이해하천/대기/생물다양성 지표 2가지 이상 설명Make예술로 시각화/표현재사용 재료로 1개 이상 작품/프로토타입 제작Act행동 변화/캠페인개인/학교/동네 단위 실천 계획 수립·실행커리큘럼 작성 팁: 각 세션에 L·M·A 중 최소 2개 축을 포함시키면 몰입도가 올라갑니다. II. 활동 포맷 – 감각·데이터·협업1. 감각 탐사사운드 워크(도시/자연 소리 채집)색/텍스처 맵핑(토양·식생 팔레트).. 2025. 8. 25. [#104-12-4]도시 산책 – 공공미술을 읽는 법 도시 산책 – 공공미술을 읽는 법공공미술은 미술관 바깥에서 만나는 ‘열린 전시’입니다. 작품만 보는 대신, 장소성·커뮤니티·안전·접근성을 함께 읽어야 완성됩니다. 1. 무엇을 ‘공공’이라 부르는가공공미술은 누구나 접근 가능한 장소에 설치되어 일상 동선과 만나는 예술입니다. 조형물·벽화·라이트 아트·사운드 스케이프·참여형 커뮤니티 프로젝트까지 폭넓습니다.영구 설치: 광장 조각, 분수, 기념비반영구/임시: 벽화, 미디어 파사드, 계절형 설치참여형: 주민 워크숍, 데이터 시각화, 퍼포먼스 2. 장소성(Placemaking) – ‘왜 여기인가’맥락: 역사·지형·산업·교통과의 관계. 작품이 지역 서사를 어떻게 끌어오는가?시야: 접근 축, 프레이밍(나무/건물/하늘), 일출·일몰·야경의 변화체험: 앉기·걷기·돌기 .. 2025. 8. 16. [#101-12-1] 예술과 공간 – 미술관·갤러리·공공미술 탐방기 시리즈 개요 예술과 공간 – 미술관·갤러리·공공미술 탐방기전시는 작품만으로 완성되지 않습니다. 공간, 동선, 조명, 텍스트가 함께 이야기합니다. 이 시리즈는 도시 위 전시 공간을 탐방하며 ‘공간의 언어’로 예술을 읽는 법을 안내합니다. 구성(6편)1편 · 미술관1. 미술관 관람의 기술 – 공간을 읽는 7가지 포인트입구에서 출구까지, 동선·조명·텍스트·사운드를 해석하는 방법 2편 · 갤러리2. 갤러리 필드가이드 – 작은 공간, 큰 경험상업 갤러리의 큐레이션과 응대, 예약·문의·구매 에티켓 3편 · 공공미술3. 도시 산책 – 공공미술을 읽는 법장소성, 커뮤니티, 유지관리와 안전까지 놓치지 않기 4편 · 테크닉4. 빛·소리·건축 – 감각을 조율하는 전시 디테일조도·색온도·흡음·반향·재료감이 감상에 미치는 영향 5편 · .. 2025. 8. 16. [#100-11-11] 아트 컬렉션 보관·관리 마스터플랜 – 실물과 디지털 자산 안전하게 지키기 아트 컬렉션 보관·관리 마스터플랜아트 컬렉팅의 가치는 작품을 소유하는 순간이 아니라, 얼마나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보관·관리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실물 작품이든 NFT 같은 디지털 자산이든, 장기적인 가치 보존을 위해서는 과학적 보관 환경, 철저한 보안, 그리고 정확한 아카이빙이 필수입니다. 1. 실물 작품 보관 – 환경이 작품의 수명을 결정한다온도: 18~21℃를 유지해 소재 변형 방지습도: 45~55%로 설정해 곰팡이·균열 예방조도: 50~150 lux, UV 필터 사용 필수포장: 산성 없는 아카이벌 페이퍼, 기포 완충재, 방습제 포함위치: 직사광선·환기구·바닥 난방에서 멀리 배치 2. 디지털 자산(NFT·디지털 아트) 보관 – 보안이 생명콜드월렛 사용: 인터넷 연결 없는 하드웨어 지갑에 장기 보관.. 2025. 8. 15. [#96-11-7] 아트 컬렉팅 & 투자 시리즈 인덱스 아트 컬렉팅 & 투자 – 시리즈 인덱스작품을 ‘수집품’이자 ‘자산’으로 이해하는 5단계 가이드. 시장 이해 → 가치 평가 → 거래 채널 → 리스크·분산 → 자산 관리·재판매 순으로 읽어보세요.읽는 순서 추천: ① 입문/시장 구조 → ② 가치 평가 → ③ 채널 비교 → ④ 리스크/분산 → ⑤ 자산 관리/재판매 1편 · 입문1. 아트 컬렉팅 입문 – 시장 구조와 주요 플레이어1차/2차 시장 구조, 갤러리·경매·아트페어·온라인 플랫폼, 초보자의 진입 전략시장 구조플레이어 2편 · 가치평가2. 작품 가치 평가의 기준 – 작가, 희소성, 상태, 경력작가 지표·에디션·컨디션·프로비넌스·시장 데이터로 합리적 판단하기데이터리서치 3편 · 거래채널3. 경매·갤러리·프라이빗 세일 비교수수료·절차·리스크를 채널별로 비교해.. 2025. 8. 15. [#86-10-6] 작품 가격 책정과 협상 전략 – 가치와 시장 사이의 균형 “가격은 작품의 언어 중 하나다. 숫자에도 메시지가 있다.”I. 가격 책정이 어려운 이유예술 작품은 단순한 재화가 아니라 창작자의 시간, 기술, 아이디어, 감정을 담은 결과물입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작품의 ‘감정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 사이의 균형을 찾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선 원가 기반 + 시장 기반 + 브랜드 가치의 세 축을 고려해야 합니다. II. 가격 산정 기본 공식구성요소계산방식비고재료비캔버스·물감·프레임·소모품모든 부자재 포함노동비작업 시간 × 시간당 인건비준비·제작·마감·배송 포함간접비스튜디오 임대, 전기·수도, 장비 감가상각월비용 기준 안분마진(재료+노동+간접비) × 마진율(30~50%)작가 경력·수요 반영예시: (재료비 50만 + 노동비 80만 + 간접비 20만) × 1.4 = 소.. 2025. 8. 15. 이전 1 2 3 4 ···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