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시동선3

[#110-13-5] 관객의 심리 – 미술관에서 일어나는 마음의 변화 관객의 심리 – 미술관에서 일어나는 마음의 변화미술관에서는 정서·사회·인지가 동시에 움직입니다. 정서적 안정과 각성, 감정 전염과 동조, 정보처리와 피로도의 균형을 이해하면, 관람 경험은 더 선명해집니다. 1. 정서의 곡선 – 안정 ⇄ 각성안정: 조도·소음이 낮고 반복 패턴이 많은 공간에서 심박과 호흡이 안정됩니다.각성: 강한 대비·대형 스케일·사운드가 긴장을 높여 주의가 집중됩니다.최적점: 안정과 각성이 번갈아 나타나는 전시가 피로 없이 오래 기억됩니다.메모법: 방(룸)마다 감정 단어 1개로 분위기를 라벨링해 보세요(평온/기대/긴장/해방 등). 2. 사회심리 – 감정은 전염되고, 해석은 정렬된다감정 전염: 주변의 표정·속도·탄성은 내 정서에 미세한 영향을 줍니다.동조/정렬: 큐레이터 노출(인트로 텍스.. 2025. 8. 18.
[#102-12-2] 미술관 관람의 기술 – 공간을 읽는 7가지 포인트 미술관 관람의 기술 – 공간을 읽는 7가지 포인트좋은 전시는 작품과 공간이 함께 작동합니다. 이번 글은 ‘공간의 힌트’를 읽어 감상력을 높이는 7가지 포인트를 소개합니다. 1. 입구의 메시지 – 무엇을 먼저 보게 하는가로비·인트로월의 타이포, 첫 작품의 크기·색·소리 배치는 전시의 주파수를 정합니다. 안내문에서 키워드 3개를 골라 기억해 두세요. 2. 동선(Line) – 시계·반시계, 직선·미로동선은 이야기 구조입니다. 화살표, 벽 틈, 반투명 파티션이 관람 속도와 시점 전환을 유도합니다. 혼잡 시 역동선으로 핵심실부터 보고 다시 돌아오는 것도 방법 3. 조명(Light) – 어디에 눈이 멈추는가조도: 50~150lx는 섬세한 감상에 적합색온도: 따뜻함(3000K) vs 차가움(4000K) 연출 비교콘.. 2025. 8. 16.
[#101-12-1] 예술과 공간 – 미술관·갤러리·공공미술 탐방기 시리즈 개요 예술과 공간 – 미술관·갤러리·공공미술 탐방기전시는 작품만으로 완성되지 않습니다. 공간, 동선, 조명, 텍스트가 함께 이야기합니다. 이 시리즈는 도시 위 전시 공간을 탐방하며 ‘공간의 언어’로 예술을 읽는 법을 안내합니다. 구성(6편)1편 · 미술관1. 미술관 관람의 기술 – 공간을 읽는 7가지 포인트입구에서 출구까지, 동선·조명·텍스트·사운드를 해석하는 방법 2편 · 갤러리2. 갤러리 필드가이드 – 작은 공간, 큰 경험상업 갤러리의 큐레이션과 응대, 예약·문의·구매 에티켓 3편 · 공공미술3. 도시 산책 – 공공미술을 읽는 법장소성, 커뮤니티, 유지관리와 안전까지 놓치지 않기 4편 · 테크닉4. 빛·소리·건축 – 감각을 조율하는 전시 디테일조도·색온도·흡음·반향·재료감이 감상에 미치는 영향 5편 · .. 2025. 8.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