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철학9 [#38-5-3] 근대의 탄생 – 칸트와 숭고, 쾌의 철학 예술은 감각을 넘어 이성으로 향하는 길일 수 있을까?1. 예술과 철학, 근대를 열다중세를 지나 근대에 들어서며, 인간은 신이 아닌 자기 자신의 이성과 감각에 주목하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의 핵심 인물이 바로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그는 『판단력 비판』을 통해 예술과 아름다움에 대해 철학적 기반을 새롭게 정립했습니다. 2. 칸트가 본 ‘아름다움’의 기준: 자율성과 쾌칸트에게 있어 미적 판단은 쾌(pleasure)를 기반으로 하지만, 개인적 욕망이나 이익과는 무관한 순수한 즐거움입니다. 그는 이를 “이해관심 없는 쾌”라고 표현했습니다. 즉, 우리는 예술을 보며 그것이 내게 유용하거나 필요해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 느껴지는 조화와 형식의 아름다움에 반응하는 것입니다. “아름다움은 개념이 .. 2025. 8. 11. [#37-5-2] 고대에서 중세까지 – 모방, 상징, 진리 모방에서 상징으로, 예술의 의미는 어떻게 바뀌었을까?1. 고대 철학에서 예술은 ‘모방’이었다1편에서 다룬 것처럼,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을 ‘모방(mimesis)’으로 이해했습니다. 이때 모방은 단순한 흉내가 아니라, 세상과 인간의 본질을 형식과 이미지로 재현하는 능력이었죠. 그러나 플라톤은 예술이 진리에서 멀어지는 위험을 경계했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을 통해 윤리적 정화와 교육이 가능하다고 봤습니다. 이처럼 고대 미학은 예술과 현실·이데아·도덕 사이의 관계에 집중했습니다. 2. 중세 – 예술은 ‘상징’을 통해 신의 진리를 드러내는 것중세로 접어들며, 예술은 더 이상 자율적인 표현이 아닌 신의 진리를 전달하는 도구로 간주됩니다. 철학은 기독교 신학과 밀접하게 결합되었고, 예술은 현세적 아름다움.. 2025. 8. 11. [#36-5-1] 예술은 왜 존재할까? – 미학의 시작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두 철학자가 말하는 '예술'의 의미1. 예술에 대한 철학적 질문우리는 미술관에서 작품을 마주하며, 종종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이건 왜 예술일까?” 이 질문은 단순한 감상의 차원을 넘어, 예술이 인간에게 왜 필요한가, 그리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에 대한 철학적 물음으로 이어집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바로 이 질문에서 서양 미학의 첫 문장을 열었습니다. 2. 플라톤 – 예술은 ‘모방’이고, 진리에서 멀어지게 한다플라톤에게 예술은 ‘모방(mimesis)’입니다. 우리가 현실이라 부르는 것조차 이데아의 그림자일 뿐인데, 예술은 그런 현실조차 또 한 번 복제하는 모방의 모방에 불과하다고 보았습니다. “화가는 침대를 그릴 수 있지만, 그 침대는 결코 쓸.. 2025. 8. 11.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