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격은 작품의 언어 중 하나다. 숫자에도 메시지가 있다.”
I. 가격 책정이 어려운 이유
예술 작품은 단순한 재화가 아니라 창작자의 시간, 기술, 아이디어, 감정을 담은 결과물입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작품의 ‘감정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 사이의 균형을 찾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선 원가 기반 + 시장 기반 + 브랜드 가치의 세 축을 고려해야 합니다.
II. 가격 산정 기본 공식
구성 | 요소계산 | 방식비고 |
재료비 | 캔버스·물감·프레임·소모품 | 모든 부자재 포함 |
노동비 | 작업 시간 × 시간당 인건비 | 준비·제작·마감·배송 포함 |
간접비 | 스튜디오 임대, 전기·수도, 장비 감가상각 | 월비용 기준 안분 |
마진 | (재료+노동+간접비) × 마진율(30~50%) | 작가 경력·수요 반영 |
예시: (재료비 50만 + 노동비 80만 + 간접비 20만) × 1.4 = 소비자가 약 210만원
III. 시장 조사 방법
- 비슷한 경력·스타일의 작가 작품 가격 확인
- 갤러리·아트페어 카탈로그 비교
- 온라인 마켓(아트시, 사치아트 등) 검색
- 낙찰가 DB 참고(작품 크기·매체 기준)
IV. 협상 전략 – 가격만이 전부가 아니다
포인트: 협상은 가격을 깎는 것이 아니라, 조건을 조율하는 것이다.
- 패키지 제안: 2점 이상 구매 시 할인 + 무료 배송
- 에디션 전략: 한정 수량으로 희소성 강화
- 결제 조건: 분할 결제, 선금·잔금 비율 조정
- 추가 가치 제공: 작가 사인·작품 해설서 동봉
V. 가격 심리학 활용
전략 | 설명 |
앵커링 효과 | 비교할 수 있는 고가 작품을 먼저 보여줘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느끼게 함 |
99 엔딩 | 1,000,000원 대신 990,000원으로 표시해 심리적 부담 감소 |
희소성 강조 | “마지막 1점” 문구로 구매 결정 가속화 |
VI. 갤러리·컬렉터 협상 시 체크리스트
- 최저 판매가(Bottom Price) 미리 설정
- 커미션 비율·정산 주기·세금 공제 여부 확인
- 작품 운송·보험 책임 주체 명시
- 전시 후 미판매 작품 반환 조건
VII. 할인 정책 설정
주의: 잦은 할인은 작품 가치를 하락시킵니다. VIP 고객·재구매자·특별 행사 등 명확한 기준을 두세요.
Artes Gallery | 아르테스갤러리
Art for Every Soul
artesgallery.com
VIII. 오늘의 실행 미션(30분)
- 내 작품의 재료비·노동비·간접비 계산
- 비슷한 작가 3명의 가격 데이터 수집
- 패키지·에디션·결제 조건별 판매 시나리오 작성
다음 글 예고 7편: 레지던시·공모전·펀딩 활용법 – 기회와 자원을 확장하는 법
반응형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88-10-8] 아트 브랜드 만들기 – 시그니처와 채널의 일관성 (4) | 2025.08.15 |
---|---|
[#87-10-7] 레지던시·공모전·펀딩 활용법 – 기회와 자원을 확장하는 법 (2) | 2025.08.15 |
[#85-10-5] 예술가를 위한 계약과 저작권 기본기 – 분쟁을 예방하는 문서화 (5) | 2025.08.14 |
[#84-10-4] 아트 굿즈 제작과 판로 개척 – 상품화부터 판매 채널까지 (7) | 2025.08.14 |
[#83-10-3] SNS로 작품 홍보하기 – 알고리즘을 아군으로 (7) | 2025.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