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아르테스갤러리33

[#41-5-6] 동양의 미학 – 무위, 여백, 선의 감성 가득 채우지 않고 비워둘 때, 비로소 드러나는 아름다움1. 서양 미학과 다른 길을 걷다서양 미학이 종종 형식, 구조, 이성에 중점을 두었다면, 동양 미학은 비움, 조화, 자연스러움을 강조해 왔습니다. 중국, 일본, 한국의 전통 예술은 공통적으로 ‘무위(無爲)’와 ‘여백(餘白)’의 가치를 담고 있습니다. 2. 무위(無爲) – 억지로 하지 않는 자연스러움장자와 노자의 도가 철학에서 비롯된 무위는 억지로 만들지 않고 자연의 흐름에 맡기는 태도를 뜻합니다. 예술에서는 작위적이지 않고, 작품이 스스로 숨 쉬도록 하는 표현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산수화에서 구름이 흐르고, 물이 흘러가는 장면을 인위적으로 정리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붓질로 그리는 것이 무위의 예입니다. 3. 여백(餘白) – 비어 있는 공간의 힘동양화나.. 2025. 8. 11.
[#39-5-4] 헤겔과 낭만주의 – 역사와 절대정신으로서의 예술 예술은 역사의 흐름 속에서 어떻게 존재하는가?1. 헤겔이 본 예술의 위치독일 관념론 철학자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W.F. Hegel)은 예술을 단순한 미적 경험이 아니라, 절대정신(Absolute Spirit)의 표현으로 보았습니다. 그의 철학에서 절대정신은 예술 → 종교 → 철학이라는 세 단계를 거쳐 완성됩니다. 예술은 이 과정의 첫 단계로, 인간이 감각적 형식을 통해 자기 의식과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입니다. 2. 절대정신과 역사 속 예술헤겔에게 예술은 역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술은 시대정신(Spirit of the Age)을 반영하며, 각 시대의 가치와 사상을 시각화합니다. 그는 예술사를 상징적 예술 → 고전적 예술 → 낭만적 예술의 세 단계로 구분했습니다.상징적 예술: .. 2025. 8. 11.
[#38-5-3] 근대의 탄생 – 칸트와 숭고, 쾌의 철학 예술은 감각을 넘어 이성으로 향하는 길일 수 있을까?1. 예술과 철학, 근대를 열다중세를 지나 근대에 들어서며, 인간은 신이 아닌 자기 자신의 이성과 감각에 주목하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의 핵심 인물이 바로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그는 『판단력 비판』을 통해 예술과 아름다움에 대해 철학적 기반을 새롭게 정립했습니다. 2. 칸트가 본 ‘아름다움’의 기준: 자율성과 쾌칸트에게 있어 미적 판단은 쾌(pleasure)를 기반으로 하지만, 개인적 욕망이나 이익과는 무관한 순수한 즐거움입니다. 그는 이를 “이해관심 없는 쾌”라고 표현했습니다. 즉, 우리는 예술을 보며 그것이 내게 유용하거나 필요해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 느껴지는 조화와 형식의 아름다움에 반응하는 것입니다. “아름다움은 개념이 .. 2025. 8. 11.
[#36-5-1] 예술은 왜 존재할까? – 미학의 시작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두 철학자가 말하는 '예술'의 의미1. 예술에 대한 철학적 질문우리는 미술관에서 작품을 마주하며, 종종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이건 왜 예술일까?” 이 질문은 단순한 감상의 차원을 넘어, 예술이 인간에게 왜 필요한가, 그리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에 대한 철학적 물음으로 이어집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바로 이 질문에서 서양 미학의 첫 문장을 열었습니다. 2. 플라톤 – 예술은 ‘모방’이고, 진리에서 멀어지게 한다플라톤에게 예술은 ‘모방(mimesis)’입니다. 우리가 현실이라 부르는 것조차 이데아의 그림자일 뿐인데, 예술은 그런 현실조차 또 한 번 복제하는 모방의 모방에 불과하다고 보았습니다. “화가는 침대를 그릴 수 있지만, 그 침대는 결코 쓸.. 2025. 8. 11.
[#35-4-9] 예술의 흐름 – 미술사 연재 시리즈 인덱스 『예술의 흐름 – 시대를 따라 걷는 미술사 여행』선사시대부터 동시대 예술까지, 예술사의 주요 흐름을 8편에 걸쳐 정리한 입문 시리즈 시리즈 전체 목차1편: 예술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 선사시대부터 고대까지 동굴벽화부터 고대 그리스, 로마 예술까지 '기원'의 예술을 탐험합니다.2편: 신의 형상을 그리다 – 중세의 예술과 상징 비잔틴, 로마네스크, 고딕 양식이 만들어낸 중세의 신비로운 미학을 살펴봅니다.3편: 인간을 발견하다 – 르네상스의 혁명 미켈란젤로와 레오나르도의 시대, 인간 중심 예술의 탄생을 조명합니다.4편: 빛과 감정의 유희 – 바로크와 로코코 카라바조, 루벤스, 프라고나르를 중심으로 한 극적이고 화려한 미술의 시대5편: 새로운 시선 – 인상주의에서 후기 인상주의까지 모네, 르누아르, 고흐,.. 2025. 8. 10.
[#33-4-7] 경계 없는 예술 – 컨템포러리 아트와 오늘 예술은 이제 장르도, 형태도, 공간도 넘나드는 열린 대화1. ‘컨템포러리 아트’란 무엇인가?컨템포러리 아트(Contemporary Art)는 일반적으로 1970년대 이후 등장한 동시대 예술을 의미합니다. 특정 양식이나 형식을 따르기보다는 다양성과 실험성, 사회적 메시지를 중심으로 합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새로운 작품과 담론이 생성되고 있으며, 예술의 정의 자체가 유동적입니다. 2. 장르를 넘어 – 설치, 퍼포먼스, 디지털회화와 조각에 머물던 전통 예술은 이제 공간, 시간, 기술, 행위까지 예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입니다.설치미술: 관람자가 직접 공간을 걷고, 경험하는 방식 (예: 올라퍼 엘리아슨)퍼포먼스 아트: 예술가의 몸과 행동이 작품이 되는 예술 (예: 마리나 아브라모비치)디지털 아트 & NFT: A.. 2025. 8.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