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아르테스36

[#193-23-6] 감성지능의 확장 – 기술이 인간을 닮아가는가, 예술과 지능 II 6편 감성지능의 확장 – 기술이 인간을 닮아가는가AI는 데이터를 학습하지만, 인간은 감정을 경험한다. 기술이 감정을 이해하기 시작할 때, 예술은 그 공감의 경계를 재정의한다. I. 감성지능(EQ)의 본질 – 이해보다 공감감성지능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를 조율하는 능력입니다. IQ가 ‘이해의 지능’이라면, EQ는 ‘관계의 지능’입니다. 인간의 예술은 이 감정적 소통의 극치로, 언어보다 더 깊이 감정을 교환하는 기술이었습니다. 이제 기술도 이 영역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II. 감정을 읽는 기술 – 센서에서 공감 알고리즘까지AI의 감정 인식은 표정, 음성, 생체신호, 언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최근의 ‘멀티모달 감정 모델’은 시각·청각·텍스트를 통합 분석하여, 인간의 정서를 더욱 정밀하게 파.. 2025. 10. 23.
[#189-23-2] 감정 알고리즘 – AI는 ‘느낄 수’ 있는가?, 예술과 지능 II 2편 감정 알고리즘 – AI는 ‘느낄 수’ 있는가?AI는 감정을 측정하고 예측하며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그러나 ‘느낀다’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예술은 이 질문을 가장 예민하게 드러내는 실험실이다. I. 감정 컴퓨팅의 기본 – 인식·분류·반응감정 컴퓨팅(Affective Computing)은 인간의 정서를 기계가 감지하고 추론·표현하도록 만드는 연구 영역이다. 전형적인 파이프라인은 다음과 같다.센싱: 표정(비전), 목소리(오디오), 생체신호(심박/EDA), 텍스트 감성추론: 정서 차원 모델(Valence–Arousal) 또는 범주 모델(기쁨·분노·슬픔 등)표현/반응: 음성 톤, 제스처, 시각 출력, 작품의 동적 변형핵심 구분: 감정 감지(detection) ≠ 이해(understanding) ≠ 경험(.. 2025. 10. 19.
[#188-23-1] 확장된 예술지능 – 인간 이후의 창의성, 예술과 지능 II 1편 확장된 예술지능 - 인간 이후의 창의성AI·집단지성·데이터가 결합하는 순간, 예술은 ‘개인’의 재능을 넘어 확장된 인지 시스템으로 진화한다. I. 확장된 예술지능(EAI)이란 무엇인가확장된 예술지능(EAI, Extended Artistic Intelligence)은 인간의 감각·감정·기억에 기계학습·로봇·네트워크가 결합된 상태를 말합니다. 이때 창작은 ‘개인의 손’이 아니라 인간-기계-집단의 협동 처리 과정으로 재구성됩니다.인지의 확장: 데이터 탐색·패턴 조합을 AI가 가속감정의 증폭: 인터랙션·피드백 루프가 감정 공명을 확장저자성의 전환: 창작자는 제작자에서 오케스트레이터로 이동 II. 창작의 파이프라인이 바뀐다전통적 파이프라인(아이디어 → 스케치 → 제작 → 수정)은 EAI 환경에서 탐색 → 선택/.. 2025. 10. 18.
[#187-22-5] 인간–기계의 인지 융합 시대, 예술과 지능 5편 인간–기계의 인지 융합 시대AI는 예술의 주체가 될 수 있을까? 인간의 감성과 기계의 계산이 만나는 새로운 창의성의 시대. 1) 인공지능과 예술 – 새로운 공진화의 시작AI는 더 이상 단순한 도구가 아닙니다. 데이터 학습, 이미지 생성, 스타일 변환 등을 통해 창작의 파트너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예술가들은 이제 ‘무엇을 만들까’보다 ‘어떻게 협력할까’를 고민합니다. 이것은 인간의 인지 체계가 기계적 지능과 융합되는 전환점입니다. 즉, 예술은 더 이상 인간의 독점적 영역이 아닌, 공진화적 지능(Co-evolving Intelligence)의 장이 된 것입니다. 2) 창의성의 재정의 – 계산과 직관의 만남AI는 수백만 개의 패턴을 탐색하고, 인간은 그중 ‘의미’를 선택합니다. 이 협력 구조에서 창의성은 데.. 2025. 10. 17.
[#186-22-4] 예술적 천재의 인지 패턴, 예술과 지능 4편 예술적 천재의 인지 패턴천재는 타고나는가, 만들어지는가? 예술가의 뇌는 감각과 사고의 경계를 넘나든다. 1) 천재의 본질 – 비정상적이지만 ‘정교한 혼란’예술적 천재는 종종 ‘광기’와 함께 언급되지만, 실제로는 질서 있는 혼돈을 지닌 존재입니다. 신경과학적으로 볼 때, 천재의 뇌는 비정형적 연결(Nonlinear Connectivity)을 특징으로 합니다. 즉, 서로 멀리 떨어진 신경 영역들이 기존의 규칙을 벗어나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이러한 비선형적 연결이 바로 혁신적 사고의 토양이 됩니다. 2) 억제의 완화 – ‘틀을 깨는’ 뇌의 작동 원리fMRI 연구에 따르면 예술가들은 일반인보다 전전두엽 피질(Prefrontal Cortex)의 억제 기능이 완화되어 있습니다. 이는 ‘틀을 깨는’ 사고를.. 2025. 10. 16.
[#185-22-3] 감정의 코드 – 공감과 미학의 신경기제, 예술과 지능 3편 감정의 코드 – 공감과 미학의 신경기제예술은 감정을 ‘보이게’ 하는 언어다. 공감의 회로가 켜질 때, 미적 경험은 시작된다. 1) 감정의 언어 – 예술은 왜 마음을 움직이는가예술의 본질은 ‘정보’가 아니라 ‘감정의 전달’에 있습니다. 우리는 작품을 볼 때 단순히 시각 정보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감정과 의도를 정서적 공명(emotional resonance)을 통해 느낍니다. 즉, 예술 감상은 ‘이해’보다 ‘느낌’이 먼저 오는 감정의 언어입니다. 공감의 시작은 감정의 공유, 즉 뇌 속에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시뮬레이션하는 능력에서 비롯됩니다. 2) 미러 뉴런 – 타인의 감정을 복제하는 뇌1990년대 초 이탈리아 파르마대학 연구진이 발견한 미러 뉴런(mirror neuron)은 우리가 타인의 행.. 2025. 10.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