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아르테스15

[#40-5-5] 현대 철학의 전환 – 벤야민과 기술 복제시대 예술의 아우라는 사라졌는가?1. 발터 벤야민과 현대 미학의 전환20세기 초, 독일의 철학자이자 문화이론가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은 기술 발전이 예술의 본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그의 대표 저서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은 오늘날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2. 아우라(Aura)란 무엇인가?벤야민은 전통적 예술작품이 지닌 고유한 ‘아우라’를 강조했습니다. 아우라란 작품이 지닌 유일무이한 존재감, 시간과 공간의 불가역성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루브르 박물관에서 모나리자를 직접 보는 경험은 복제 이미지나 디지털 사진으로는 대체할 수 없는 독특한 가치와 감정을 줍니다. 3. 기술 복제가 가져온 변화사진, 영화, 인쇄술의 발달은 예술을 대량 복제할 수 있게 .. 2025. 8. 11.
[#37-5-2] 고대에서 중세까지 – 모방, 상징, 진리 모방에서 상징으로, 예술의 의미는 어떻게 바뀌었을까?1. 고대 철학에서 예술은 ‘모방’이었다1편에서 다룬 것처럼,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을 ‘모방(mimesis)’으로 이해했습니다. 이때 모방은 단순한 흉내가 아니라, 세상과 인간의 본질을 형식과 이미지로 재현하는 능력이었죠. 그러나 플라톤은 예술이 진리에서 멀어지는 위험을 경계했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을 통해 윤리적 정화와 교육이 가능하다고 봤습니다. 이처럼 고대 미학은 예술과 현실·이데아·도덕 사이의 관계에 집중했습니다. 2. 중세 – 예술은 ‘상징’을 통해 신의 진리를 드러내는 것중세로 접어들며, 예술은 더 이상 자율적인 표현이 아닌 신의 진리를 전달하는 도구로 간주됩니다. 철학은 기독교 신학과 밀접하게 결합되었고, 예술은 현세적 아름다움.. 2025. 8. 11.
[#36-5-1] 예술은 왜 존재할까? – 미학의 시작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두 철학자가 말하는 '예술'의 의미1. 예술에 대한 철학적 질문우리는 미술관에서 작품을 마주하며, 종종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이건 왜 예술일까?” 이 질문은 단순한 감상의 차원을 넘어, 예술이 인간에게 왜 필요한가, 그리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에 대한 철학적 물음으로 이어집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바로 이 질문에서 서양 미학의 첫 문장을 열었습니다. 2. 플라톤 – 예술은 ‘모방’이고, 진리에서 멀어지게 한다플라톤에게 예술은 ‘모방(mimesis)’입니다. 우리가 현실이라 부르는 것조차 이데아의 그림자일 뿐인데, 예술은 그런 현실조차 또 한 번 복제하는 모방의 모방에 불과하다고 보았습니다. “화가는 침대를 그릴 수 있지만, 그 침대는 결코 쓸.. 2025. 8.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