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영15

[#83-10-3] SNS로 작품 홍보하기 – 알고리즘을 아군으로 알고리즘은 적이 아니다. 내가 꾸준히 공급하면, 그들은 꾸준히 보여준다.I. 핵심 원리: 보유·참여·반복대부분의 플랫폼은 시청 유지(몇 초나 봤는가), 참여(좋아요·댓글·저장·공유), 반복 방문을 우선합니다. 따라서 “처음 3초 후킹, 명확한 스토리, 확실한 CTA”가 기본 구조가 됩니다.CTA 예시: “가격·커미션 문의는 프로필 링크”, “전시 정보는 고정 스토리 확인” II. 플랫폼별 전략 요약플랫폼콘텐츠포맷핵심 포인트인스타그램릴스(15~30초), 캐러셀(과정 5~10컷)저장·공유 유도 캡션, 고정 해시태그 5~8개 + 회차별 3개틱톡쇼트 튜토리얼, 타임랩스, 변환 전/후첫 1초 임팩트, 자막 필수, 트렌드 사운드 절제 활용유튜브쇼츠(30~45초), 롱폼 메이킹(5~10분)썸네일·제목의 문제/결과 .. 2025. 8. 14.
[#82-10-2] 아트페어 준비 A to Z – 부스 선정부터 보험·홍보까지 아트페어 준비 A to Z – 부스 선정부터 보험·홍보까지아트페어는 예술가에게 전시·판매·네트워킹의 3박자를 제공하는 현장입니다. 하지만 철저한 준비가 없다면 비용만 남기고 끝날 수 있습니다. I. 부스 선정 – 전략적으로 선택하기아트페어의 부스 위치와 크기는 매출과 방문객 유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전시장 입구 근처, 메인 동선, 카페·라운지 인근이 상대적으로 유리합니다.부스 타입장점단점벽면형작품 집중도 높음, 설치 용이노출 각도 제한코너형양면 노출, 유동 인구↑가격 높음.아일랜드형360° 관람 가능운영 인력·작품 수 요구↑팁: 첫 참가라면 비용·작품 수·운영 인력 고려해 벽면형 또는 코너형 추천 II. 작품 운송·포장 – 안전이 곧 비용 절감에어캡·폼보드·목재 크레이트 등 3중 포장프레임 유리.. 2025. 8. 14.
[#81-10-1] 예술 비즈니스 첫걸음 – 창작을 지속 가능한 커리어로 좋은 작품은 충분조건이 아니다. ‘운영’이라는 날개가 달릴 때 비로소 비즈니스가 된다.I. 창작과 비즈니스, 왜 ‘둘 다’여야 하는가많은 예술가가 “작품만 잘 만들면 언젠가 알아줄 것”이라 믿습니다. 하지만 시장은 작품의 질과 더불어 가시성(노출), 신뢰성(브랜딩·기록), 접근성(구매 경로)으로 움직입니다. 이 글은 창작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운영의 뼈대를 세우는 ‘최소한의 비즈니스 시스템’을 제안합니다. II. 수익 구조 지도의 6칸채널설명실행 팁원화 판매직접·갤러리 위탁 판매가격표 공개, 배송·설치 가이드 동봉에디션/프린트한정 수량으로 접근성 확대에디션 번호·CoA 발급, 포장 표준화커미션맞춤 제작·기업 협업브리프·마감·수정횟수 계약서 명시강의/워크숍노하우 콘텐츠화커리큘럼·샘플 결과물 미리 제시라이선.. 2025. 8.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