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7

[#83-10-3] SNS로 작품 홍보하기 – 알고리즘을 아군으로 알고리즘은 적이 아니다. 내가 꾸준히 공급하면, 그들은 꾸준히 보여준다.I. 핵심 원리: 보유·참여·반복대부분의 플랫폼은 시청 유지(몇 초나 봤는가), 참여(좋아요·댓글·저장·공유), 반복 방문을 우선합니다. 따라서 “처음 3초 후킹, 명확한 스토리, 확실한 CTA”가 기본 구조가 됩니다.CTA 예시: “가격·커미션 문의는 프로필 링크”, “전시 정보는 고정 스토리 확인” II. 플랫폼별 전략 요약플랫폼콘텐츠포맷핵심 포인트인스타그램릴스(15~30초), 캐러셀(과정 5~10컷)저장·공유 유도 캡션, 고정 해시태그 5~8개 + 회차별 3개틱톡쇼트 튜토리얼, 타임랩스, 변환 전/후첫 1초 임팩트, 자막 필수, 트렌드 사운드 절제 활용유튜브쇼츠(30~45초), 롱폼 메이킹(5~10분)썸네일·제목의 문제/결과 .. 2025. 8. 14.
[#82-10-2] 아트페어 준비 A to Z – 부스 선정부터 보험·홍보까지 아트페어 준비 A to Z – 부스 선정부터 보험·홍보까지아트페어는 예술가에게 전시·판매·네트워킹의 3박자를 제공하는 현장입니다. 하지만 철저한 준비가 없다면 비용만 남기고 끝날 수 있습니다. I. 부스 선정 – 전략적으로 선택하기아트페어의 부스 위치와 크기는 매출과 방문객 유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전시장 입구 근처, 메인 동선, 카페·라운지 인근이 상대적으로 유리합니다.부스 타입장점단점벽면형작품 집중도 높음, 설치 용이노출 각도 제한코너형양면 노출, 유동 인구↑가격 높음.아일랜드형360° 관람 가능운영 인력·작품 수 요구↑팁: 첫 참가라면 비용·작품 수·운영 인력 고려해 벽면형 또는 코너형 추천 II. 작품 운송·포장 – 안전이 곧 비용 절감에어캡·폼보드·목재 크레이트 등 3중 포장프레임 유리.. 2025. 8. 14.
[#81-10-1] 예술 비즈니스 첫걸음 – 창작을 지속 가능한 커리어로 좋은 작품은 충분조건이 아니다. ‘운영’이라는 날개가 달릴 때 비로소 비즈니스가 된다.I. 창작과 비즈니스, 왜 ‘둘 다’여야 하는가많은 예술가가 “작품만 잘 만들면 언젠가 알아줄 것”이라 믿습니다. 하지만 시장은 작품의 질과 더불어 가시성(노출), 신뢰성(브랜딩·기록), 접근성(구매 경로)으로 움직입니다. 이 글은 창작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운영의 뼈대를 세우는 ‘최소한의 비즈니스 시스템’을 제안합니다. II. 수익 구조 지도의 6칸채널설명실행 팁원화 판매직접·갤러리 위탁 판매가격표 공개, 배송·설치 가이드 동봉에디션/프린트한정 수량으로 접근성 확대에디션 번호·CoA 발급, 포장 표준화커미션맞춤 제작·기업 협업브리프·마감·수정횟수 계약서 명시강의/워크숍노하우 콘텐츠화커리큘럼·샘플 결과물 미리 제시라이선.. 2025. 8. 14.
[#80-9-9] 예술가의 작업실 인덱스 예술가의 작업실 – 시리즈 인덱스루틴·도구·영감·실험·공간·시간·협업·아카이브까지, 창작의 현장을 해부한 8편 모음.읽는 순서 추천: ① 루틴 → ② 도구·재료 → ③ 영감 → ④ 실패·실험 → ⑤ 공간 심리 → ⑥ 시간 관리 → ⑦ 협업 → ⑧ 아카이브 1편 · 루틴1. 거장의 하루 루틴 – 창작의 시간을 엿보다아침·낮·저녁 루틴이 만드는 집중과 지속성, 작업 흐름의 골격집중습관 2편 · 도구/재료2. 작업실의 도구와 재료 – 창작의 손끝을 완성하다회화·조각·사진·미디어아트 필수 세팅과 안전/예산 가이드세팅안전 3편 · 영감3. 영감의 순간들 – 아이디어를 포착하는 방법스케치·카메라·보이스, 무드보드와 5단계 아이디어 전환 루프아이데이션무드보드 4편 · 실험4. 실패와 실험의 기록 – 좋은 ‘시안’이.. 2025. 8. 14.
[#79-9-8] 작업실 아카이브 – 기록으로 남기는 창작의 역사 기억은 흐릿해지지만, 기록은 작품 세계를 영원히 연결한다.I. 왜 아카이브인가?작품은 전시에 걸리는 순간만 존재하지 않습니다. 구상, 스케치, 시안, 완성, 설치, 리뷰까지—모든 과정이 당신의 예술 세계를 설명하는 증거입니다. 체계적인 아카이브는 포트폴리오·공모·판매·저작권 분쟁 대응에서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II. 촬영·스캔 표준 잡기이미지: 3000px 이상 장변, 300dpi(인쇄용은 4000px+), RAW 보관·JPEG 납품색 관리: 그레이카드/컬러체커 1컷 포함 → 후보정 후 잘라내기조명: 45°×2 라이팅, 반사면은 편광 필터 고려문서: 계약서·작품카드·스케치 PDF 스캔(흑백 텍스트 300dpi, 이미지 600dpi)팁: 완성작과 설치샷(전시장) 두 세트를 반드시 남겨 두세요. III... 2025. 8. 14.
[#78-9-7] 협업과 네트워크 – 함께 만드는 작업의 힘 예술은 혼자의 힘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좋은 협업과 네트워크가 작품 세계를 확장한다.1. 왜 협업이 중요한가?현대 예술 프로젝트는 단일 장르를 넘어 설치, 영상, 음악, 퍼포먼스까지 복합적으로 진행됩니다. 이 과정에서 전문성의 결합이 필수이며, 협업은 새로운 관점과 기술을 가져옵니다. “협업은 서로의 결핍을 채워 예술의 지평을 넓힌다.” 2. 협업의 첫 단계 – 파트너 선정작업 스타일과 가치관이 맞는지 확인기술·자원·네트워크가 상호 보완되는지 평가프로젝트 규모와 기간에 맞는 파트너 선정팁: 과거 작업 포트폴리오를 검토하고, 소규모 파일럿 협업부터 시작하면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계약과 역할 분담항목내용계약 범위작업 내용·기간·장소·비용 명시저작권저작권 소유·사용권·공동 표기 여부수익 배분판매.. 2025. 8. 14.
반응형